제311회 남양주시의회(임시회)
남양주시 의회사무국
일 시 : 2025년 4월 16일(수)
장 소 : 도시교통위원회 회의실
의사일정
1. 2025년도 제1회 추가경정예산안
심사된 안건
(10시 05분 개의)
1. 2025년도 제1회 추가경정예산안(남양주시장 제출)
의사일정 제1항 2025년도 제1회 추가경정예산안을 상정합니다.
상정된 안건은 2025년 4월 4일 시장으로부터 제출되어 제1차 본회의에서 총괄적인 제안설명을 받은 안건입니다.
오늘은 도시국과 미래도시추진단 소관 사항에 대해서 심사를 하겠습니다.
먼저 도시국 소관 추가경정예산안에 대해서 심사하겠습니다.
국장께서는 나오셔서 제안설명 바랍니다.
○도시국장 김상수
도시국장 김상수입니다.
시민과 소통하는 의회, 시민과 함께하는 의회. 박경원 위원장님과 더불어민주당 김지훈 부위원장님을 비롯한 위원님들께 감사드리며, 도시국 소관 2025년도 제1회 일반 및 특별회계 추가경정 세입․세출예산안에 대하여 설명드리겠습니다.
일반회계 추가경정 세출예산은 기정예산보다 11억 9838만 8000원을 증액한 520억 3593만 6000원을 편성하였고, 특별회계는 71억 2314만 3000원을 편성하였습니다.
그러면 직제순에 따라 설명드리겠습니다.
도시정책과 소관 예산안입니다.
기정예산보다 10억 7000만 원을 증액한 15억 6074만 원을 편성하였습니다.
235쪽 남양주시 도시기본계획 생활권계획 수립 용역비 3억 원, 경기 동북부 공공의료원 부지 경관개선 사업비 7000만 원을 계상하였고, 개발제한구역 해제취락 지구단위계획 재정비 수립을 위해 7억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다음은 주택과 소관 예산안입니다.
기정예산보다 1억 3058만 3000원을 감액한 463억 5242만 5000원을 편성하였습니다.
236쪽 공가 및 에너지 절감단지로 인한 공공임대주택 공동전기료 지원 사업비 1억 3058만 3000원을 감액 계상하였습니다.
다음은 건축관리과 소관 예산안입니다.
기정예산보다 4750만 원을 증액한 15억 1498만 5000원을 편성하였습니다.
237쪽 대설피해 재난 및 복구 지원금 1850만 원을 계상하였고, 소규모 공동주택 안전점검비용 지원 사업 2900만 원을 증액하였습니다.
238쪽부터 239쪽 개발제한구역 주민지원사업 특별회계 예산안입니다.
기정예산과 동일한 71억 2314만 3000원을 편성하였습니다.
조안1리 지적재조사 사업 3034만 7000원, 조안2리 마을회관 건립 사업 3억 원, 진건읍 사능리 족구장 조성 사업 3627만 원, 능내1리 잔디광장 가로등 설치 사업으로 2000만 원을 계상하였고, 예비비 2661만 7000원, 예탁금 3억 6000만 원을 감액 계상하였습니다.
다음 토지정보과 소관 예산안입니다.
기정예산보다 1억 8220만 원을 증액한 9억 5765만 9000원을 편성하였습니다.
240쪽 지적재조사 사업 조정금 1억 8095만 6000원을 계상하였으며, 2025년 국고보조금 확정 통보에 따라 지적재조사 사업 국비 124만 4000원을 증액 계상하였습니다.
마지막으로 부동산관리과 소관 예산안입니다.
기정예산보다 2927만 1000원을 증액한 12억 6654만 3000원을 편성하였습니다.
241쪽 스마트 주소정보시설 기반 기초번호판 설치 사업 시설비 2927만 1000원을 계상하였습니다.
이상으로 도시국 소관 2025년도 제1회 일반 및 특별회계 추가경정예산안에 대한 설명을 마치겠습니다.
수고하셨습니다.
집행기관석에 앉아 주시기 바랍니다.
직제순에 따라 도시정책과 소관 추가경정예산안에 대한 심사를 하겠습니다.
과장께서는 답변 준비 바랍니다.
도시정책과에 질의하실 위원께서는 질의하시기 바랍니다.
질의하실 위원이 안 계시므로 도시정책과 소관….
이상기 위원님 질의 있으신가요?
○이상기 위원
이상기 위원입니다.
과장님 세부사업설명서 485페이지 개발제한구역 해제취락 지구단위계획 변경 수립 용역에 대한 질의입니다.
이 용역을 수립하는 이유를 설명 부탁드리겠습니다.
○도시정책과장 이정주
본 용역비는 우리 시 전체의 41개 해제취락이 2006년, 2007년에 43개소가 해제됐는데 이게 장기미집행으로 도래가… 20년이 되는 게 도래하고 있습니다. 그래서 우리 시뿐만 아니라 경기도의 개발제한구역 해제취락들이 다 이런 형태여서 용역을 통해서 해소 대책은 안산시 같은 경우는 도시계획도로에 대해서 건축선을 한번 존치하는 걸 검토해 본다고 그래 가지고 경기도 회의에서 계속 회의를 하고 있고 저희도 이런 차원에서 시민의 재산권을 지키기 위해서는 어쩔 수 없이 세운 예산입니다.
○이상기 위원
이 사업의 실효 예정이 2026년 8월 도래 시에 맞춰 지구단위계획 재수립하고자 용역을 하신 거지요. 그러면 현재 과거에 파악된 실효 예정 도시계획 시설은 몇 개로 파악되는지 아세요?
○도시정책과장 이정주
저희가 이제 ‘26년 해제되는 게 20개소, ‘27년 해제가 되는 게 21개소입니다. 그래서 총 41개소입니다.
○이상기 위원
20년간 사유재산 피해가 발생하였는데 이제 와서 실효되거나 도시계획시설이 재지정된다면 많은 민원이 발생할 것으로 예상되는데 이에 대한 방안은 있으신지?
○도시정책과장 이정주
저희가 다시 재산권… 보통 보면 도시계획도로도 저희가 최소 폭으로 줄이고 있습니다. 그래 가지고 다시 할 때는 보통 도시계획도로 폭이나 이런 게 이게 나을 것 같고 공원 같은 경우는 거의 다, ‘22년경에 거의 다 해제가 됐고요. 그래서 이런 내용이 없도록 설명회를 통해서 최선을 다하겠습니다.
○이상기 위원
하여튼 개발제한구역 해제취락에 대한 문제점과 민원이 다수 지속적으로 수십 년간 발생하고 있습니다. 개발제한구역 해제된 취락과 향후 지구단위를 수립하여 해제 관리할 지역에 대하여 심도 있게 고민해 주시기 바라겠습니다.
○도시정책과장 이정주
네, 알겠습니다.
○이상기 위원
이상입니다.
○김지훈(국) 위원
우리 235페이지 도시기본계획 변경 수립 용역 이번에 추경에 3억을 이렇게 올랐는데, 과장님? 이게 2035에 대해서 우리가 기본계획을 수립하기 위한 용역인 거지요?
○도시정책과장 이정주
네, 그렇습니다. 이게 작년에 시행령에서 생활권계획이라는 거를 수립하도록 그 시행령이 시행되면서 저희가 또 전 2035 도시기본계획 수립할 때 용역을 2018년에 착수했는데 저희 최종 승인받은 게 ‘22년에 받았습니다. 그러니까 이게….
○김지훈(국) 위원
2030?
○도시정책과장 이정주
2035가. 이게 예비타당성 다시 재검증할 때도 저희가 미리 착수를 하려고, 여기 시행령 바뀐 것도 있지만 미리 작업을 해야지 저희가 그때에 맞춰서 시행할 수 있을 것 같아서 지금 용역비를 마련하는 겁니다.
○김지훈(국) 위원
변경이라는 건 시간이 이제 다 도래가 되면 새로운 걸 하기 위한 거지요?
○도시정책과장 이정주
네, 그때 시작하면 저희가 늦기 때문에 미리 좀 착수한다고 보시면 될 것 같습니다.
○김지훈(국) 위원
변경으로 표시가 돼서.
근데 이게 향후 투자가 11억 5000이 또 이렇게 계획이 잡혀 있어요.
○도시정책과장 이정주
이거는 일단 저희가 총괄 발주… 전체 예산은 맞는데 예산 일단 3억만 확보해서 총괄 발주를 하려고 하는 사항입니다.
○김지훈(국) 위원
전체 용역비가 그러면 14억 5000이 맞다?
○도시정책과장 이정주
네, 그렇습니다.
○김지훈(국) 위원
그 정도 예상을 한 거고?
○도시정책과장 이정주
네, 그렇습니다.
○김지훈(국) 위원
5년 동안 우리가 관리를 할 거고?
○도시정책과장 이정주
네.
○김지훈(국) 위원
그러면 우리가 기본계획을 하다 보면… 우리가 어제 또 동의안도 의회 청취안도 들었잖아요. 그렇지요?
○도시정책과장 이정주
네, 그렇습니다.
○김지훈(국) 위원
그러면 2030에 들었는데 2035에 대한 우리가 물량이나 이런 조정할 때 기본 베이스로 삼겠다는 거잖아요, 이게. 맞아요?
○도시정책과장 이정주
네, 이번에 재정비할 때 민원이 많았던 걸 저희가 다 담지 못했던 점이 많기 때문에 그 내용도 경기도에 어필을 해서 승인받을 수 있도록 노력하겠습니다.
○김지훈(국) 위원
우리가 지금 사실 이게 제일 중요한 게 어떤 우리가 다핵도시잖아요. 다핵도시다 보니까 우리가 신도시 또 개발을 통해서 많은 상업지구나 그런 부분이… 다른 기존의 원도심들은 이제 상업지구나 확대가 안 되는 부분이 있잖아요. 그렇지요? 신도시 부분이 생기면서 물량을 배정하다 보니까.
그런 부분이 충분히 좀 반영이 돼서 어떤 쏠림현상으로 한 도시가 어느 지역은 특정 지역은 인구가 공동화로 해서… 또 어느 쪽은 이렇게 인구가 막 폭발적으로 몰리고 하는 그런 현상을 우리가 억제할 수 있게끔. 사실 요새 주거개념이 전에는 상업지구 주거개념이 분리였는데 지금은 또 같이 가는 개념이라고 하더라고요. 그래서 기존 원도심 부분도 상업부지나 이런 부분이 좀… 물론 상업부지로 해 놓고서 어떤 진행 못 하는 그런 어려운 부분도 있지만 그런 거를 기본계획에서 잘 우리가 수립을 해 주셨으면 합니다. 그래서 좀 어려운 부분인데, 요새 계속 도시 패러다임이 바뀌고 있어서 많이 어려운 부분인데 우리가 그런 부분도 물량 산출할 때 기본계획이 가장 중요하기 때문에 다시 한번 좀 말씀을 드린 겁니다, 용역 올렸기 때문에.
○도시정책과장 이정주
이게 주민참여단도 구성해서 하게 돼 있습니다. 권역별로 해서 소생활권 나눠서 할 거, 그다음에 위원님들이 말씀하신 사항도 충분히 나올 것 같고, 그 의견 수렴해서 저희가 제일 최상의 계획이 되도록 노력하겠습니다.
○김지훈(국) 위원
그러니까 이게 지금 용역 예산이 올라왔기 때문에 그런 부분이 충분히 반영될 수 있게끔 진행되어야 될 것 같습니다.
이상입니다.
○김영실 위원
과장님 484쪽 경기 동북부 공공의료원 부지 경관개선 사업에 대해서 원론적인 얘기를 좀 드리려고 해요.
예산이 이제 7000 정도밖에 안 세워졌어요.
○도시정책과장 이정주
네, 그렇습니다.
○김영실 위원
이게 어찌 보면 많고 어찌 보면 굉장히 적은 예산인데 남양주시 전체적으로 보면 경관개선 사업을 해야 할 곳이 참 많아요. 그런데 이제 특별히 여기 공공의료원 부지는 우리한테 굉장히 좋은 소식과 함께 그 부지가 정해짐으로 인해서 또 다급하게 빨리 사업이 진행되지 않기 때문에 그냥 둘 수 없어서 주민들한테 이렇게 마련을 해서 좀 그래도 주변 환경을 누리게 하려고 준비하시는 거지요?
○도시정책과장 이정주
네, 그렇습니다. 이게 언론… 포털 사이트에서 지도에 보면 2030년 개원 예정이라고 안내를 하고 있어 가지고 저희가 계속 보면 전에도 민원이 있었습니다. 이게 계속 자연 잡초들이 자라다 보니까. 근데 토양이 좀 척박해 가지고 저희가 성토를 하기는 좀 그렇고. 그래서 최소한으로 공원관리과나 협조를 받아서 저희 환경에서 제일 잘할 만한 그걸로 사업비를 추정했습니다. 그래 가지고 주민들하고 좀 하면 소통도 할 계획입니다.
○김영실 위원
거기를 이제 어쨌든 간에 단 1년이라도 초화를 심어서 꾸며 놓으면 주민들이 앞에 산책로 겸해서 포토 사이즈 정도 할 수 있는 곳이라고 생각을 하고요. 이런 계획은 잘하셨다라는 의견을 좀 드리면서 제가 당부 말씀드리려고 하는 거는 이제 이렇게 경관 조경을 하려고 우리가 초화를 구입하고 이런 부분이 있으면 남양주시에서도 이런 초화나 이런 걸 기르는 농장이 많지요? 모르시지요?
○도시정책과장 이정주
저희 부서에는 현황은 없고.
○김영실 위원
(웃음) 그렇지요.
○도시정책과장 이정주
저희 부서 그 관리하는 현황은 없습니다.
○김영실 위원
그러니까 들은 것도 있을 거고. 어쨌든 부서에서는 그런 현황이나 이런 게 있지는 않지만 본 위원이 알기로는 남양주시에 이렇게 화훼농가들이 꽤 많이 있습니다. 그래서 코로나로 인해서 많이 힘들어지기도 했고 또 남양주시 우리 신도시가 들어감으로 인해서 많이 이전해서 없어지는 경우도 많고 그래요. 그리고 거의 또 수동으로도 많이 이전해 가서 지금 작업을 하고 있는 곳도 있는데 이러한 식재 하나를 사더라도, 준비를 하더라도 남양주시에서 재배하는 걸 우선으로 해서 이렇게 꾸미면 어떨까라는 의견을 좀 드리고 싶어서. 일단은 우리가 저기 뭐지, 이거를 사업을 시작할 때 그런 것도 고민해서 발주하고 하셨으면 좋겠다라는 의견을 좀 드리고 싶어서 제가 마이크를 잡았고요. 특별히 남양주시에서 사업하는 것들은 이러한 식재나 이런 것들을 남양주 시민을 위해서 하는 거니까 남양주시에서 하는 것을 우선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끔 부서에서도 고민해 주시기를 부탁드리겠습니다.
○도시정책과장 이정주
네, 알겠습니다.
○김영실 위원
이상입니다.
더 이상 질의할 위원이 안 계시므로 도시정책과에 대한 심사를 마치겠습니다.
과장님 수고하셨습니다.
계속해서 주택과 소관 추경예산안에 대한 심사하겠습니다.
과장께서는 답변 준비 바랍니다.
주택과 예산안에 대한 질의는 이상기 위원님이 먼저 하겠습니다.
○이상기 위원
과장님 세부사업설명서 489페이지 참고 바라겠습니다. 공동주택단지 시설물 지원에 대한 질의입니다.
과장님 공동주택단지 시설물을 지원하고자 본예산에 약 22억 원을 세우셨습니다. 예산이 부족하여 본예산에 반영하기 힘들었을 텐데 1회 추경에 1억 3000만 원을 삭감하는 이유가 있을까요? 추계를 잘못한 것인지, 아니면 지원 신청이 저조해서인지 설명 부탁드리겠습니다.
○주택과장 안진호
답변드리겠습니다.
공공임대주택 공동전기료 사업은 2023년서부터 지속가능한 주거복지 향상을 위해서 추진했던 사업입니다. 올해에는 세대당 3540원 공동전기료를 세대당 지원하는 사업으로 남양주시 공공임대주택은 37개 단지, 3만 7000세대가 있습니다.
그런데 저희가 2년간 추계를 다시 한번 해 보니까, 2년 동안 추진했던 추계를 다시 해 보니까 공실이 한 5~6% 되고 에너지 절감 세대도 발생했습니다. 그래서 이번 본 추경에 추산해서 거기에 해당하는 세대를 감해서 추진하고자 합니다. 본 사업으로 감액과 관련해서 동 사업이 사업에 지장이 없도록 추진토록 하겠습니다.
○이상기 위원
하여튼 향후 본예산을 편성할 때 예산 사용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도록 다방면으로 고려해 주시기 바라겠습니다.
○주택과장 안진호
네, 알겠습니다.
○이상기 위원
수고하셨습니다.
이상입니다.
수고하셨습니다.
주택과에 더 질의할 위원이 안 계시므로 주택과 소관 예산안 심사를 마치겠습니다.
과장님 수고하셨습니다.
다음은 건축관리과 추경예산안에 대한 심사하겠습니다.
과장께서는 답변 준비 바랍니다.
건축관리과에 질의가 있으신 위원께서는 질의하시기 바랍니다.
질의가 없으므로 건축관리과에 대한 심사를 마치겠습니다.
과장님은 자리로 돌아가셔도 되겠습니다.
계속해서 토지정보과 소관 추경예산안에 대한 심사입니다.
과장께서는 답변 준비 바랍니다.
질의하실 위원께서는 질의하시기 바랍니다.
질의할 위원이 안 계시므로 토지정보과 소관 예산안 심사를 마치겠습니다.
과장께서는 자리로 돌아가셔도 좋습니다.
끝으로 부동산관리과에 대한 추경예산안 심사입니다.
자리에 앉아 주시기 바랍니다.
우리 부동산관리과에 질의가 있으신 위원께서는 질의하시기 바랍니다.
(『없습니다』하는위원있음)질의가 없으므로 부동산관리과 소관 질의를 마치겠습니다.
국장님 우리 시민들의 안정적인 주거환경 그리고 조화롭고 균형 있는 그런 우리 남양주를 만들기 위해서 이번 1회 추경예산안이 세워지면 예산의 효율적인 집행에 최선을 좀 다해 주시길 부탁드립니다.
이상으로 도시국 소관 추경예산안에 대한 심사를 모두 마치겠습니다.
도시국 관계 공무원 여러분 수고하셨습니다.
이어서 미래도시추진단 추가경정예산에 대한 심사를 하겠습니다.
보고에 앞서 미래도시추진단장께서 부재중인 관계로 겸임 중인 도시국장께서 발언대로 나오셔서 우리 추진단에 대한 예산안 보고를 해 주시기 바랍니다.
○도시국장 김상수
미래도시추진단 소관 2025년 제1회 추가경정예산안에 대하여 제안설명 드리겠습니다.
사업명세서 259쪽부터 260쪽 도시재생과 소관 세출예산안입니다.
2025년 1회 추가경정예산 규모는 2025년 본예산 대비 46억 136만 8000원을 증액한 150억 8389만 5000원을 편성하였습니다.
먼저 259쪽 금곡동 도시재생 뉴딜사업입니다.
금곡로 일방통행 어린이보호구역 내 안전한 교통 통행을 위한 무인교통단속장비 인수검사 수수료 200만 원을 편성하였고, 금곡동 도시재생 현장지원센터 분소 운영 종료에 따른 이사비 200만 원을 편성하였습니다.
아울러 도시재생 관련 축제 및 교육을 위한 9700만 원을 포함하여 총 1억 100만 원을 편성하였습니다.
다음은 화도읍 도시재생 뉴딜사업입니다.
마석공원 경관리뉴얼 사업이 조성 완료됨에 따라 경관특화장비 및 조명제어 공공요금 지급을 위해 시설부대비 720만 원을 공공운영비로 예산과목 변경하였습니다.
아울러 맷돌모루 플랫폼 조성 사업의 LH 위탁을 위해 시설비 35억 3505만 3000원을 공기관 등에 대한 자본적 위탁사업비로 예산과목을 변경하였습니다.
260쪽 도시계획도로 중로3-339호선 개설공사입니다.
화도읍 도시재생 뉴딜사업의 일환으로 추진되고 있는 맷돌모루 문화예술거리 일방통행로 조성을 위해 총 10억 원의 공사비 중 5억 원을 편성하였습니다.
향후 5억 원의 공사비를 추가로 확보하기 위해 노력하겠습니다.
끝으로 진접읍 팔야리 도시재생사업입니다.
2024년 6월 진접읍 팔야리 일원을 신규 도시재생활성화 지역으로 지정하였고, 국토교통부 도시재생사업 가이드라인 규정에 따라 사업부지 매입이 완료되어야 도시재생사업 공모 신청이 가능하므로 부지매입비 40억 원을 편성하였습니다.
이상으로 미래도시추진단 소관 2025년도 제1회 추가경정예산안에 대한 제안설명을 마치겠습니다.
잘 들었습니다.
집행기관석에 앉아 주시기 바랍니다.
우리 도시재생과 추경예산안에 대한 질의를 하겠습니다.
과장께서는 답변 준비 바랍니다.
도시재생과에 질의가 있으신 위원께서는 질의하시기 바랍니다.
○이상기 위원
위원장님.
○이상기 위원
과장님 세부사업설명서 555쪽 도시계획도로 개설공사에 대한 질의입니다.
맷돌모루 문화예술거리 조성과 교통의 흐름을 원활히 하고자 교량 1개소를 포함하여 이번 도시계획도로 개설공사를 하시는 거 맞지요?
○도시재생과장 송성희
네, 맞습니다.
○이상기 위원
이 사업을 시민들이 잘 알 수 있도록 설명 부탁드리겠습니다.
○도시재생과장 송성희
이 도로는 맷돌모루 플랫폼 사업하고 관련이 좀 돼 있고요. 도시재생사업으로 인해서 보시면 여기가 서울 쪽 방향이고요. 여기가 가평 방향인데 이 방향이 일방통행로로 바뀝니다. 서울에서 가평 방향으로 일방통행로가 돼서, 그러면 가평에서 서울 쪽으로 올 때 도로를 갈 수가 없어서 이 도로를 개설해서 우회하고자 하는 도로입니다. 그래서 이쪽에 보면 하천이 있어서 교량이 하나가 있고요. 이거 포함해서 길이 78m, 폭 14m인 도로입니다.
○이상기 위원
이 사업은 2023년서부터 진행해 온 사업입니다. 시민들의 삶의 질을 높여 줄 도시재생이 되도록 최선의 노력을 다해 주시기 바라겠습니다.
○도시재생과장 송성희
네, 알겠습니다.
○이상기 위원
이상입니다.
○이수련 위원
556페이지 진접은 팔야리 도시재생사업 질의드리겠습니다.
지난해 정말 열심히 준비하셔서 공모사업 했는데 토지매입 부분 때문에 경기도에서 또 안 됐잖아요.
○도시재생과장 송성희
네, 그렇습니다.
○이수련 위원
이번에 그거 올리신 거지요?
○도시재생과장 송성희
네, 맞습니다.
○이수련 위원
한 번 더 열심히 해 주셔서 올 하반기에는 꼭 공모에 당선이 돼서 노후되고 낙후되고 소외된 팔야리에 좀 새로운 활력을 불러일으킬 수 있는 이게 마중물이 되었으면 합니다. 근처에 또 근4부지도 있고 습지공원도 있고 개발해야 될 데가 되게 많습니다.
○도시재생과장 송성희
네, 맞습니다.
○이수련 위원
조금만 더 힘을 내서 잘… 좋은 결과 이끌어 낼 수 있도록 노력 부탁드리겠습니다.
○도시재생과장 송성희
네, 알겠습니다. 최선을 다하겠습니다.
○이수련 위원
이상입니다.
○도시재생과장 송성희
감사합니다.
○도시국장 김상수
네.
○도시국장 김상수
힘들다기보다는 일단 도시라는 측면에서 한 울타리로 저는 생각을 하기 때문에 괜찮습니다.
열심히 해 주실 거라고 믿고 특히 우리 남양주는 이제 왕숙신도시 등 개발로 이어지잖아요. 아주 중요한 그런 단계에 와 있잖아요. 그래서 우리 남양주시가 이제 슈퍼성장 시대로 도약하는 그런 원동력도 되기도 하고 미래의 자족도시도 실현할 수 있도록 계속해서 최선을 다해 주시길 부탁드리면서 우리 미래도시추진단 소관 추가경정예산안에 대한 심사를 모두 마치겠습니다.
국장님 이하 관계 공무원 여러분 수고하셨습니다.
위원 여러분 내일은 교통국과 도로관리사업소 소관 2025년도 제1회 추가경정예산안에 대한 심사를 하겠습니다.
이상으로 제311회 남양주시의회(임시회) 제2차 도시교통위원회 산회를 선포합니다.
(10시 31분 산회)
○출석위원 8명
- 박경원
- 김지훈(민)
- 이상기
- 김지훈(국)
- 김영실
- 이수련
- 김상수
- 이진환
○출석전문위원
- 전 문 위 원 서진원
○의회사무국 출석공무원 2명
- 행 정 8 급 김준혁
- 속 기 사 강미라
○출석공무원 7명
- 도 시 국 장김상수
- 도 시 정 책 과 장이정주
- 주 택 과 장안진호
- 건 축 관 리 과 장주영상
- 토 지 정 보 과 장문만수
- 부 동 산 관 리 과 장박석주
- 도 시 재 생 과 장송성희